TMF ETF는 TLT ETF의 3배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TMF를 매수하는 이유는 국채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다른 국채 ETF에 비해 변동성이 큰 것을 이용한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MF ETF에 투자하는 이유와 TMF 적정 매수 가격 그리고 매수 방법을 소개합니다.
TMF 기본정보
운용사: Direxion Funds
상장일: 2009년 4월 16일
벤치마크지수: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TR USD
보수율: 1.06%
현재가: $ 7.47 (23. 7. 17 장전 기준)
TMF는 TLT The ICE U.S. Treasury 20+ Years Bond Index 성과의 300% 일일 투자 결과를 추구합니다. 쉽게 설명해 TLT의 3배를 추종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TLT가 1% 상승하면 TMF는 3% 상승합니다. TLT가 1% 하락하면 TMF는 3% 하락합니다. 채권의 성격상 주가 변동성이 크지 않지만 TMF는 TLT를 3배 추종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변동폭이 큽니다.
TLT에 대해서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TLT ETF 투자 이렇게 하세요. (주가 예상 및 배당정보 안내)
TMF ETF 주가 흐름
TMF와 TLT 주가 비교

TLT와 TMF의 주가 차트 비교입니다. TLT에 비해 TMF의 주가 변동폭이 크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유는 TMF는 TLT의 3배를 추종하기 때문입니다.
TMF ETF 주가 전망
TMF는 TLT를 추종하기 때문에 결국 TLT의 주가 흐름을 지켜 보아야 합니다. TLT 주가를 하락시키는 요인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앞으로 남은 2번의 금리 인상입니다. 7월 금리인상이 확실시 되자 채권가격은 즉시 반응하기 시작했습니다. 7월 금리 인상 후 후반기 또 한번의 금리 인상이 확실시 된다면 TMF 가격이 하방 압력을 받을 가능이 큽니다.
둘째는 미국 국채 발행 물량의 급증입니다. 모건스탠리에 다르면 “재무부는 후반기 약 7천 30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해야 하며 이달부터 12월까지는 약 1조 2천500억 달러의 국채를 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1조 2천500억은 우리나라 돈으로 약 1600조에 달하는 엄청난 금액입니다. 미국 국채 최대 소비처인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은 10년 새 32% 줄었으며, 12년 사이 최소 수준입니다. 다량의 국채가 발행되는 시점에서 중국의 국채 매도는 결국 국채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입니다. 따라서 하반기에 국채 ETF 가격이 지금 보다 더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경우의 수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지금의 국채 가격에 선반영 되어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습니다. 국채 투자가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선반영이 어디에서 부터 어디까지 되었는지를 투자자는 모르기 때문입니다. 결국 TMF 정적 매수 가격은 다음과 같이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TMF ETF 적정 매수 가격
TLT 기준 100$ 이하, TMF 기준 7$ 이하 부터는 적정 매수 가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적정 매수 가격’은 ‘최저 가격’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그 누구도 TMF의 최저 가격을 맞출 수 없습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후반기 지금보다 더 떨어질 수 있는 요인들이 아직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럼에도 TMF 7$ 이하의 가격은 분할 매수하기에 좋은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이 다시 잡히지 않거나 고금리 현상이 오래 유지 되고 기타 다양한 이유들로 금리 인상을 시도한다면 TLT 기준 90$ 이하, TMF 기준 5$ 이하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유념해야 합니다.
투자자의 대다수는 금리가 정점에 있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몇 번 더 추가 인상이 될 수 있지만 인상 확률보다 더 높은 확률로 금리 동결 및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금리동결이 시작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또는 직후 TMF 가격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 있으며 그 때는 지금 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참고하여 TMF도 분기 배당을 실시합니다. 배당월은 3, 6, 9, 12월이며 배당락일은 보통 20일~21일 사이입니다. (최근 배당락일: 23년 6월 21일, 배당지급일: 23년 6월 28일) 지급되는 배당금은 일정하지 않으며 보통 2%대의 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락일 1~2일 전에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TMF ETF 매수 방법
TMF ETF에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먼저 HTS(Home Trading System) 또는 MTS(Mobile Trading System) 종목 검색창에 “TMF”를 검색합니다. 수량에 구매하고자 하는 주식 수량을 기입하고 시장가 혹은 지정가를 기입하여 주식을 구매합니다. 참고로 주식 구매는 장 시작 초반보다는 장이 마감되는 시간이 구매에 유리하며, 마감 시 상승에 있는 TMF를 구매하기 보다, 마감 시 하락에 있는 구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TMF는 채권 TLT를 기반으로 하지만 변동성이 매우 큰 종목입니다. 따라서 하락 -10%에서 최대 -50%까지는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TMF 역시 다른 주식과 마찬가지로 투자 포트폴리오에 일부를 반영해야 하며, 분할매수가 원칙입니다. 기대수익을 높이기 위해 소위 몰빵 투자는 매우 위험하며 투자자는 큰 변동폭을 견딜 수 없어 시장에게 지는 게임을 할 확률이 커집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국채로 배당을 받고 싶다면 TLT 보다는 TLTW를 추천하며, 시세차익을 노린다면 TLT보다는 TMF가 더 좋은 전략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TLT의 상승분은 환차손에 의해 상쇄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환차손을 뛰어넘은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TMF가 TLT보다는 유리한 전략입니다. 다만 이를 위해 투자자는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