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T ETF 투자 이렇게 하세요. (주가 예상 및 배당정보 안내)

TLT ETF은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를 주식처럼 투자할 수 있는 ETF입니다. 미국 기준 금리가 이제 정점을 찍고 인하를 예상하는 시점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TLT ETF에 주가 예상 및 배당정보를 확인하고 TLT ETF 투자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소개합니다.

 

TLT ETF 기본정보

상품명: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운용사: BlackRock

출시일: 2002년 7월 22일

특징: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현주가: 101.29$ (23년 7월 14일 기준)

운용보수: 0.15%

배당주기: 월배당

배당수익률: 2.56%(세전)

 

TLT ETF는 20년 이상 미국 국채에 투자할 수 있는 ETF입니다. 출시일은 2002년 7월에 출시되었고 운용보수는 0.15%입니다. 운용보수는 ETF 가격에 녹아져 있기 때문에 별도 납부하지 않습니다. 배당주기는 월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은 2.56%입니다.

7월 14일 기준 주가는 101.29$입니다. 1주를 보유하고 있다면 월마다 세전 대략 0.2$를 배당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TLT ETF 주가

TLT ETF 주가 흐름 및 SPY와 비교 차트
TLT ETF 주가 흐름 및 SPY와 비교

 

TLT와 SPY 비교

TLT ETF와 미국 S&P 500 지수 추종하는 대표 ETF인 SPY와의 주가 비교 차트입니다. SPY는 완만한 상승추세를 그리는 반면 TLT는 출시 초기와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차트만 본다면 매우 실망적입니다. 그래서 일부 투자자들은 채권에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않기도 합니다.

그러나 주가 그래프만 봐도 너무 뻔한 채권 ETF 투자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TLT ETF에 투자하는 이유

TLT는 20년 이상 미국 국채에 투자할 수 있는 ETF입니다. 국채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국채는 일반 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 자산입니다. 위의 TLT ETF의 주가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가 변동성이 크지 않습니다.

이런 점을 착안해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국채 투자를 고려합니다.

 

미국 채권 ETF 투자를 고려하는 이유

첫째 주식시장이 변동성이 클 때 채권 투자를 고려합니다.

둘째 첫째와 같은 맥락으로 주식시장의 하락이 예상 될 때 채권 투자를 고려합니다.

세째, 분산투자 개념으로 투자 포트폴리오에 일부 비중을 두어 채권에 투자합니다.

채권은 비록 큰 수익률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투자금을 크게 잃지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유 자산의 가격 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헷지의 수단으로 국채 ETF를 보유하는 것입니다.

미국 국채 ETF는 기간에 따라 6가지가 됩니다. 그런데 왜 투자자들은 20년 장기 국채 TLT ETF에 주목하는 것일까요?

TLT ETF에 투자하는 이유

아래는 미국 국채 6가지의 주가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미국 국채 ETF 6개 ETF 주가 그래프 차트
미국 국채 ETF 6개 ETF 주가 그래프

 

TLT가 SPY와 비교할 때는 형편없이 낮지만, TLT가 다른 국채 ETF와 비교할 때 주가 상승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채는 만기 기한이 길 수록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채의 경우 만기가 정해져 있는데 기한이 길 수록 위험에 노출되는 시간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일국채 만기 기한이 길 수록 변동성은 더욱 큽니다.

쉽게 설명해서 가장 짧은 국채 ETF인 SHV의 경우 거의 변동이 없는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유는 기한이 짧아 위험이 적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TLT는 장기 국채로서 긴 시간동안 많은 위험을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영리한 투자자는 고금리로 채권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을 때 TLT에 투자합니다. TLT가 고금리에 영향을 받아 주가 하락이 있을 때 저렴하게 구매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투자자는 일정한 배당을 받으면서 주가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첫째 일정한 배당을 받으면서 주가 시세차익을 노리는 것입니다.

 

TLT ETF 주가 예상

TLT ETF는 23년 7월 14일 기준 101.29$에 위치해 있습니다. 연준에서는 올해 두번의 금리를 더 올리 수 있다고 예고하였습니다. 인플레이션이 크게 낮아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입니다. 그런데 금리 인상의 이유가 되는 CPI는 지속 내림세를 보이고 있고 최근 근원 CIP 역시 의미있는 하락을 보여 주었습니다. CPI는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주요한 경제 지표로서 CPI가 낮아지고 있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잡히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그래서 올해 2번 예고된 금리 인상은 1번 정도로 끝날 가능성 있고 이 부분이 지금 TLT 가격에 반영되었다고 보기도 합니다.

이에 많은 채권 투자자들은 새로운 기준 금리를 발표하는 7월(25일~26일) FOMC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연준에서 베이비 스텝(0.25%) 정도로 금리를 올린다면 시장은 호재로 받아드릴 가능성이 큽니다. 왜냐하면 시장이 이미 예상하고 있던 바이기 때문입니다. 또는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금리 동결도 채권시장에서는 호재로 받아드릴 수 있습니다.

반면 빅스텝(0.5%)를 올리거나, 추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다시 강조한다면 채권 시장은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TLT ETF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될 수 있습니다.

 

TLT ETF 투자 시기 및 방법

TLT ETF의 가격은 평균 아래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는 TLT가 저점에 위치해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지금부터 일정한 금액으로 구매하는 것은 괜찮은 방법입니다.

다만 TLT ETF 구매시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투자 금액의 많은 비중으로 구매하는 것은 좋지 못합니다. 채권은 헷지 수단의 성격으로 투자금액의 일부를 투자해야 합니다. 투자 금액의 10%에서 많게는 50%까지 비중을 둘 수 있습니다.

둘째, 분할매수해야 합니다. TLT ETF가 평균 이하의 가격에 위치해 있지만 더 아래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기간을 정해 놓고 분할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분할매수는 금리동결이나 금리인하를 기대할 수 있는 올해 말이나 내년 초까지 계속될 수 될 수 있습니다.

셋째, TLT ETF의 상승분과 환율 환차손에 따른 상쇄 부분을 고려해야 합니다. 금리 인하 시기 TLT의 주가는 상승하는 반면, 일반적으로 환율은 떨어지게 됩니다. 결국 TLT 주가가 크게 상승하지 않는 이상 환차손에 따라 큰 시세 차익을 얻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TLT ETF 배당 정보

TLT ETF 배당락일 목록
TLT ETF 배당락일

 

TLT ETF 배당일(배당락일)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락일’ 하루나 이틀 전에 사는 것이 안전합니다. ‘배당락일’에 해당 주식을 소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TLT ETF의 배당락일은 매월 1일 입니다. 다만 1일이 공휴일의 경우 주식 거래가 이루어지는 가장 빠른 날이 배당락일이 됩니다. 배당락일에 TLT ETF를 보유하였다면, 짧게는 3일 통상 7일 이내에 배당을 받게 됩니다. (참고로 배당락일 이후에 해당 주식을 팔아도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23년 7월 기준 1주 보유시 배당률은 2.56% 세전 월 배당금은 0.2$ 입니다.

지혜롭고 현명한 투자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시길 바랍니다.

“TLT ETF 투자 이렇게 하세요. (주가 예상 및 배당정보 안내)”에 대한 2개의 생각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