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엔화환율이 최저를 기록하면서 엔화 투자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습니다. 다만 어떻게 해야 엔화 투자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지를 잘 모르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엔화 투자 쉽고 빠른 방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
엔화는 왜 떨어지고 있나요?
엔화가 떨어지는 이유는 다양하나, 가장 주요한 요인은 바로 기준 금리입니다. 미국의 경우 기준금리가 5%가 넘어가고 있는 반면, 일본은 저금리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11월 20일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5.50%이고 일본 기준 금리는 -0.10%입니다. 이 말은 미국에 은행에 돈을 넣어두면 5%에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일본 은행에 돈을 넣으면 이자가 거의 없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유동성이 일본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며 이에 따라 달러의 환율은 높아지고 일본의 환율을 낮아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엔화 투자는 왜 하나요?
엔화 투자는 환차익을 노리는 투자 방법입니다. 쉽게 이야기해 엔화 환율이 낮을 때 사서 엔화 환율이 높을 때 되 파는 것입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23년 11월 20일 기준 엔 환율은 864.50원입니다. 10년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10년 기준 엔화 평균 환율은 1,000원입니다. 지금이 엔화 투자에 적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엔화 투자 어떻게 하나요?
이제 본격적으로 엔화 투자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엔화 투자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쉽고 빠른 방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
엔화 투자 방법 – 엔화 매수
제일 쉽고 빠른 방법은 엔화를 매수하는 것입니다. 엔화를 매수하는 방법은 은행이나 증권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엔화 매수 투자 장점
엔화 매수의 장점은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 부과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익이 있는 모든 곳에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러나 환전을 통한 환차익은 비과세로 15.4%에 대한 세금이 없습니다.
엔화 매수 투자 단점
엔화 매수의 단점 환차익은 비과세이지만, 환전 시 거래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엔화 매수를 통한 엔화 투자시에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환전 수수료를 줄이는 것입니다.
환전은 증권사별 비대면 개좌개설 시 유리한 우대환율 조건을 제공해 줍니다.
키움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시 95% 우대환율이 적용되며, NH 나무증권의 경우 나무멤버스를 가입하게 되면 환전우대 100%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신한 쏠(SOL) 어플 활용시 90% 환전 수수료를 줄일 수 있습니다.
엔화 투자 방법 – 엔화 추종 ETF
엔화 투자 방법 두번째는 엔화 환율을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국내에 상장된 엔화 투자 ETF로는 292560 (TIGER 일본엔선물)이 있으며, 미국에도 엔화 ETF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FXY (Invesco Currency Shares Japanese Yen Trust)가 있습니다. FXY는 JPY/USD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FXY는 엔화가 강세를 보이거나 달러가 약세를 보일 때 수익률이 좋은 ETF 입니다. 달러가 약세, 엔화 강세가 예상될 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엔화 레버리지 및 인버스 엔화 ETF도 존재합니다. YCL은 엔화환율 X 2배를 추종하고, YCS는 – X2배를 추종합니다.
쉽게 이야기해 앞으로 “엔화 가치가 더 떨어질 것이다” 라고 생각되면 ‘YCS’를 “이제는 엔화 가치가 오를 것이다”라고 생각되면 ‘YCL’에 투자하면 됩니다.
다만 YCL과 YCS의 경우 ‘PTP’ 지정 종목으로 판매금액에 10%에 대한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 손해를 보고 팔아도 세금이 발생되기에 투자추천하지는 않습니다.
PTP에 대해서 알아보길 원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이에 더하여 엔화가 최저점을 찍고 미국 국채금리가 최고점을 찍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에 상장되어 있는 2621에도 관심 가질 수 있습니다.
2621은 정식명칭 BRJ ISHares 20+ Year US treasury Bond JPY H ETF로서 일본 엔화로 미국 장기채 ETF 인 TLT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낮아진 엔화로 저렴해진 TLT에 투자함으로서 ‘환차익’과 더불어 ‘TLT 가격상승’에 기대하여 투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엔화 추종 ETF 투자 장점
엔화 추종 ETF 투자의 장점은 주식 투자 하듯 증권 앱을 통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점과 국내 상장된 엔화 ETF의 경우 환전없이 구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엔화 추종 ETF 투자 단점
단점으로는 ETF이기 때문에 운용보수가 따릅니다. FCY의 경우 연 0.4% 비교적 높은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또한 환차익을 통해 수익을 거둘 경우 주식과 똑같이 15.4% 세금이 발생합니다. (다만 수익이 250만원 미만 일 경우 세금이 면제입니다.)
엔화 투자 방법 – 엔화로 일본 주식시장에 투자
엔화 투자 3번째 방법은 엔화로 일본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직접적인 엔화투자라기 보다 좀 더 공격적인 투자 방법이 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달러 환율이 낮을 때 외국 자본이 주식시장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낮은 환율에 따라 싼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낮아진 엔화 환율로 우리는 평소 보다 낮아진 가격에 일본 주식을 살 수 있습니다.
투자의 대가로 불리우는 워런 버핏이 투자한 미쓰비시 같은 회사는 주가가 크게 오르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습니다.
엔화로 일본 주식시장에 투자 장점
환율이 싼 일본 엔으로 일본 주식까지 산다면 일본 주식의 주가가 올랐을 때 일본 엔의 환차익과 더불어 주식 시세차익까지 같이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엔화로 일본 주식시장에 투자 단점
다만 일본 주식시장이 불안정하고 떨어진다면 환 차익을 거두어도 주식으로 인해 손해를 감수해야 합니다.
엔화 투자 결론
엔저를 기록하고 있는 지금이 엔화 투자의 적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다양한 방법 중에 나에게 맞는 투자 방법으로 수익을 극대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엔화 환율이 낮을 때 구매하여 환율이 높을 때 되 파는 것이 가장 쉽고 안전한 투자 방법이며, 조금 더 적극적인 투자자는 엔화 ETF 및 일본주식 시장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엔화 투자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위기 속에서도 기회를 찾는 여러분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대출이자 줄이는 현실적인 방법 3가지
대출금리비교 3가지 방법(최저대출금리 찾는 방법)
“엔화 투자 쉽고 빠른 방법 3가지”에 대한 1개의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