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주식을 사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가?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지급일 알아보기)

배당주에 관심을 두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배당주에 잘 투자하면 지속적인 현금 창출 흐름을 받을 수 있고 자산을 지속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언제 사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하여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지급일의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배당기준일

배당을 받고 싶을 때 가장 중요한 개념은 ‘배당기준일’입니다. ‘배당기준일’은 한마디로 배당을 지급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날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은 언제든지 사고 팔 수 있습니다. 주식을 사고 판다는 것은 주식의 주인이 언제든지 바뀔 수있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주주에게 배당을 지급할까’라는 질문이 생깁니다.

이 때 필요한 개념이 바로 ‘배당기준일’입니다. “이 날짜에 주주로서 등록되어 있는 주주에게 배당을 지급하겠다” 이것이 바로 배당기준일입니다.

 

배당락일

그러면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구매하면 바로 주주가 될 수 있는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주식을 구매하고 회사 주주 명부에 이름이 올라가기까지 통상 ‘2일’이라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주주로서의 이름을 올리기 위해서는 배당기준일로 최소 2일 전에 주식을 구매해야 합니다.

배당기준일 전날은 ‘배당락일’이라고 부릅니다. 주식을 구매하고 주주 명부에 이름을 올리기까지 최소 2일이라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배당기준일 하루 전날인 배당락일은 어떠한 경우라도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배당락일은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기준일로 부터 2일전, 배당락일 기준으로 하루 전에 주식을 구매하고 보유해야 배당을 받을 수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다만 결제이나 지연 등을 감안할 때 배당락일 기준 최소 2일~3일 전까지 구매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배당락일 전에 구매한 주식은 배당락일 당일에 팔아도 다가오는 배당은 받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지급일

배당지급일은 배당을 지급하는 날짜를 의미합니다.

배당락일 2~3일 전에 주식을 구매하면 해당 기업의 주주로서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워 집니다. 그렇다면 배당은 언제 받을 수 있을까요?

배당지급일은 회사마다 다릅니다. 다만 배당기준일로 부터 7일 이내 실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까지 배운 것을 토대로 대표 배당성장 ETF인 SCHD ETF를 통해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지급일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SCHD 배당일 정리표

위의 표는 찰스스왑에서 운용중인 대표 배당성장 ETF SCHD의 2023년 배당정보입니다.

EX-Date: 배당락일입니다. 배당락일 최소 하루 전에 주식을 구매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SCHD 배당락일은 1분기 3월 22일, 2분기 6월 21일, 3분기 9월 20일, 4분기 12월 6일입니다.

안전하게는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대로 배당락일 기준 최소 2~3일 전에 해당 ETF를 구매해야 합니다.

Record Date: 배당기준일입니다. 해당날짜에 주주로서 등록되어 있어야 배당을 받을 자격이 주어집니다.

Payble Date: 배당지급일입니다. 배당기준일로 부터 통상 4일 이내에 배당이 지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는 자산을 비교적 안전하게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배당을 언제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언제 주식을 사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지 이와 관련하여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지급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개인연금 추천, 연금저축 펀드, 연금저축 보험, 장점, 수령 방법, 수령액 소개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