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연금연계제도 소개 (국민연금, 공무원, 사학, 군인, 모든 연금을 연결하세요)

공적연금연계제도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연금제도가 있고,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연금수령을 위한 기간을 채워야 합니다.

그런데 가입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이동하는 경우 연금을 받지 못하고 일시금으로 받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각각의 연금을 연결하여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생겼습니다. 바로 공적연금연계제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적연금연계제도와 가입방법 및 유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공적연금연계제도란?

공적연금연계제도는 국민연금과 직역연금(공무원, 사학, 군인, 별정우체국) 등 연금 수령을 위한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 각각의 연금을 연결하여 가입기간을 합산하고 최소연계 기간을 충족하면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연금별 최소 가입기간

–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별정우체국: 10년 (16년 1월 2일 이후)

– 국인연금: 20년

– 다만 직역 기관 퇴직일이 16년 1월 1일 이전인 경우: 20년

예를 들어 16년 1월 1일 이전에 공무원으로 15년을 연금 납입하고 국민연금으로 5년을 추가 납부하면 연금 대상자가 됩니다.

또 다른 예로 군인으로 10년 연금을 납입하였다면 국민연금으로 10년 추가 납입하여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적 연급 수령을 위해서는 연계기간 합산이 10년(16년 1월 2일 이후) 또는 20년(군인, 16년 1월 1일 이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공적연금연계제도 연금 수령 연령

연금 수령은 1969년 이후 출생자부터 65세부터 지급 받게 됩니다.

다만 그 이전 출생자는 아래와 같이 연급지급 연령이 달라집니다.

연금 수령 나이 표

공적연금 연계제도 신청 방법

공적연금 연계제도 신청은 아래의 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에서 신청합니다.



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

▷ STEP1. 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 접속

▷ STEP2. 공적연금연계제도 ‘연계신청’ 클릭

▷ STEP3. 공적연금연계제도 이어드림연금포털 로그인 (로그인 시 또는 부라우즈 인증서 필요)

▷ STEP4. 연계신청정보에 연계신청 등록

공적연금연계제도 연금액 예상 수령액

공적연금을 얼마나 받게 될지 미리 계산할 수 있습니다.

▷ STEP1. 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 접속

▷ STEP2. 연금모의 계산 클릭

▷ STEP3. 근무이력 기입 및 내 연금 알아보기

공적연금연계제도 신청시 유의사항

연계신청

연계를 희망하는 경우 직역연금의 퇴직금 또는 국민연금의 반환일시금을 수령하지 않고 신청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또는 직연연금의 퇴직급여를 수령하지 않은 경우 퇴직 후 5년 이내 신청 해야 하며,

직역연금으로 부터 퇴직급여를 지급받은 경우, 받은 퇴직일시금을 반납하고 국민연급 가입자 자격 취득 후, 연계 신청합니다.

연계취소

연계 신청을 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취소할 수 없습니다.

다만, 연계 신청 처리결과 통보서가 도달하기 전에는 취소가 가능합니다.

제외 기간

연계대상기간 계산에 있어서 중복되는 가입기간은 제외됩니다.

국민연금법상 근복무 및 출산 크레딧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공무원 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간에는 기간 합산이 가능하나, 별정우체국은 타 직역연금과 합산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이제까지 공적연금연계제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공적연금연계제도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

댓글 남기기